본문 바로가기

C++40

C++ 4. define/ 비트 연산자 1. 쉬프트 연산자 ​ 종류 : > 기능 : 비트를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민다. ​ 예) byte의 변숫값은 이렇게 된다. ​ 여기서 이렇게 하면 왼쪽으로 한 칸 가면 이렇게 된다. 왼쪽으로 한번 옮기니 2배가 됐다. ​ 그래서 대입 연산자와 합쳐서 표현하면 이렇게 해주면 byte 안에 있는 값이 두 배 돼서 다시 받는 것이다. 이것을 축약한 것 ​ 만약 를 하면 원래 들어있던 값의 4배가 된다. (2²)​ ​ 3칸 밀면 8배가 된다. (2³) ​ 결론은 일 때 byte의 숫자가 2n 곱한 수이다. ​ 반대로 오른쪽으로 옮기면 나누기 2이다. 결과 적으로 일 때 byte의 숫자가 2² 곱한 수이다. 일 때 byte의 숫자가 2n 나눈 몫이다. ​ ​ ​ 2. 비트 연산자 ​ 종류 : 비트 곱 (&).. 2022. 5. 25.
C++ 3. 조건문(if,switch),삼항 연산자 조건문이란 값에 따라 처리를 나누고 싶을 때 사용한다. if문 : 참일경우 실행문 실행 거짓일 경우 else 실행 if(조건식) { 실행문 //if가 참인 경우 실행 } else if (조건식) { 실행문 // else if가 참인 경우 실행 } else{ 실행문 // if가 거짓인 경우 실행 } ex) int i = 0; if(i == 0) { i = 1 ; } else { i= 2; } //결과 1 switch 기본형 switch( 판단할 값 ) { case 숫자: //실행내용 break; default: //실행내용 } 그리고 case에 없다면, default 부분을 실행 if/else문에서는 else역할 break; 를 안써주면 아래 코드도 실행시킴!! ex) if문이나 switch문은 상황에 따.. 2022. 5. 24.
C++ 2. 연산자 산술 연산자 +,-,*,/,%(모듈러스, 나머지, 피연산자가 모두 정수일때만 가능!!) 대입 연산자 = 실수를 상수로 적을 경우 소수점 뒤에 f를 붙이면 float 자료형으로,f를 붙이지 않으면 double 자료형으로 간주한다. ex 10.f // float ex 10. //double 산술 연산자 활용 int data = 10 + 10; //20 연산자 우선순위는 대입 연산자가 나중에 한다. data + 20; // 산술 연산자를 쓸 때 어디다가 넣을지를 정해줘야한다. ex) data = data + 20; data +=20; // 위에 코드랑 같은 의미 data = 10-2; // 8 data = 10*2; // 20 data = 10%3; // 1 피연사자가 모두 정수일때만 가능 ex)10.0%3... 2022. 5. 23.
C++ 1. 자료형 정수형 : char(1), short(2), int(4), long(4), long long(8) 실수형 : float(4), double(8) 1Byte = 8bit = 2의 8승 = 256가지의 상태를 표현가능 2의 10승 = 1024Byte = 1KByte (B는 byte b는 bit) 1024kByte = 1MByte 양수 0~255까지 양수만 표현하고 싶을 때 ex)unsigned char i = 0; i = 255 // i = -1 i = -1 // i = 255 양수 음수 둘다 표현 -128~127 ex)char i = 0; i = 255; // i = -1 더해서 0이 되게하면됨 1은 0000 0001 이고 0을 만들려면 1111 1111을 더해주면 0이됨 ,정수 2진법에서 다 반전시킨 다.. 2022. 5. 21.